본문 바로가기

디지털미디어3

장기적인 관점으로 보는 인터넷 미국은 인터넷 자유를 국정 운영의 도구로서 추구하고 있다. 그러므로 특히 특정 정권을 겨냥한 검열 회피 도구에 대한 중요성은 덜 강조하고, 지역의 대중 연설과 집회가 더 일반화되도록 지원을 늘려야 한다. 물론 정보에 대한 접근이 중요하지 않다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것이 소셜 미디어가 독재자를 제한하거나 민주주의 시민들에게 혜택을 주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아니다. 특정 정권을 겨냥한 특정 도구나 운동을 미국이 직접 후원하는 지원 방식은 반발을 살 위험이 있으므로 더 참을성 있게 원칙을 전 세계에 적용해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미 국무부의 인터넷 자유 목표를 재조정해야 하고, 국민 간에 개인과 사회의 통신 자유를 확보하는 것이 가장 먼저 고려되어야 할 목표이며, 바로 그 다음 목표는 개개 시민이 대.. 2020. 9. 26.
보수의 딜레마3 국가가 이러한 도구들을 감시하고 금지하거나 유인하기 위해 점점 더 정교한 수단을 확보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새로운 미국재단의 레베카 매키넌과 열린사회연구소의 예브게니 모로조프 같은 학자들은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면 권위주의 정권을 약화하게 하는 그만큼 가화할 가능성도 크다고 주장을 한다. 중국 정부는 소셜 미디어의 정치적 위협을 통제하기 위한 여러 시스템을 완성하는 데 상당한 노력을 해왔으며, 이러한 시스템 중 검열과 감시 프로그램은 제일 중요성이 낮다. 중국 정부는 갈수록 자신들의 정통성에 대한 위협이 내부로부터 오고 있으며, 의 웹사이트를 막는다고해서 슬픔에 찬 엄마들이 부패에 대한 불만을 방송에서 이야기하는 것을 막을 수는 없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있다. 중국의 시스템은 1990년대 중반부터,.. 2020. 9. 25.
미디어의 힘에 관한 충격사실 공산주의 체제가 대체로 평화적으로 붕괴하게 된 이유는 국가와 시민사회 간 힘의 균형에 일어난 변화 때문이엇다. 폭력을 사용하는 국가의 능력은 약화했다. 그리고 정부 폭력의 예봉을 견뎌야 했던 시민사회는 더 강해졌다. 시민사회가 승리를 거뒀을 때 공산주의 정권에 반대 목소리를 높였던 사람들, 예를 들어서 폴란드의 타데우시 마조비에츠키와 체코슬로바키아의 바츨라프 하벨 등이 이러한 국가의 새로운 정치 지도자가 되었다. 의사소통 도구들이 냉전 기간에 정부들을 붕괴하게 하지 못했지만, 힘이 약해진 국가로부터 사람들이 권력을 쟁취하는 데는 도움이 되었다. 미국의 소리부터 사미즈다트까지, 미디어가 공적 영역을 강화함으로써 사회 변화를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는 생각은 인쇄기의 역사적 역할을 도풀이하는 것이다. 독일의 철.. 2020. 9. 22.